카테고리 없음

축농증 걱정 없는 상악동 거상술

수롱 2018. 2. 3. 15:47

위턱 어금니 쪽에 임플란트를 심으면서 축농증으로 고생한 환자를 가끔 만날 수 있다.
지난 주에도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은 경험을 해서 반대쪽 어금니 위치에 임플란트를 심는 것을 두
려워하는 환자와 상담을 했다.

왜 위턱 어금니에 임플란트를 심을 때 축농증이 생길까?

위턱 어금니를 상실하게 되면 치아 상방에 있는 상악동이라는 공기 주머니가 아래쪽으로 확장되
면서 임플란트를 심을 뼈의 공간을 침범하게 된다. 그래서 뼈의 깊이가 10mm 이하로 줄어들 수
있는데 그 결과로 임플란트를 심을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게 된다.
이때 치과 의사는 부족한 뼈의 깊이를 늘리기 위해서 상악동의 종이장처럼 얇은 막을 분리해내어
공간을 만든 후 여기에 뼈를 만들 수 있는 이식재를 넣게 되는데 이렇게 하는 술식을 상악동 거
상술이라고 한다. 그러나 상악동 거상술의 술식이 쉽지 않아서 축농증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상악동의 막은 뼈와 분리되는 과정에서 찢어지거나 이식재를 넣으면서 손상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자정기능이 상실되면서 염증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이식한 뼈는 염증이 생기는 원료 같은 역할을 하면서 코가 많이 나오고 머리가 아프고 붓
고 고름이 차는 현상이 생길 수 있는 것이다. 심한 경우에는 구강과 상악동으로 구멍이 생기면서
섭취한 음식이 코로 나오는 현상까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상악동 거상술을 쉽게 할 수 있는 기구의 발달과 안전한 수술을 할 수 있는 방
법의 개선이 이루어져서 10 여 년 전보다 부작용이 현저히 줄어 들고 있다.
가장 중요한 몇 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상악동의 뼈를 삭제해서 막을 노출시키기 위한 매우 안전한 기구가 개발되었다. 이 기구를 사용하면 종잇장 같은 막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뼈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②상악동의 막을 물의 압력을 이용해서 올림으로써 손상 가능성이 최소화 되었다.

③상악동의 공간을 만든 후 반드시 인공뼈나 환자의 채취한 뼈를 넣어야만 뼈가 만들어진다는 고정 관념이 무너지고 아무것도 넣지 않아도 공간만 유지할 수 있다면 뼈가 생긴다는 결과가 발표되면서 설혹 상악동 막의 손상이 있더라도 축농증이 생기지 않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축농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으므로 환자와 치과 의사 모두 좀더 편안한 마음으로 수술에 임할 수 있어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고 생각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