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시스템

서울순치과 이호정 오스템 임플란트 시스템

수롱 2016. 10. 29. 11:38

TS SYSTEM

2016년의 오스템 임플란트의 대표적인 것은 TS SYSTEM이며 이전의 GS SYSTEM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출시된다

GS system은
Internal hex 방식의 임플란트이며 표면처리는 RBM처리
Submerged type의 2 stage용도
GS2는 straight body이고 GS3는 tapered body이다
식립 제한 토크는 40뉴우톤

이것은 스웨덴의 아스트라 임플란트(현재는 덴츠플라이로 흡수/유한양행 수입)를 개념을 적용해서 만든 제품이다. 우리나라 임플란트의 대부분이 RBM처리되어 있었고 GS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GS2 시스템의 상방의 microthread가 임플란트 상방 crest 부위의 뼈를 녹이는 문제가 많이 발생해서 이를 개선한 GS3가 나왔다는 얘기가 있다. 스티그 한슨이 개발한 아스트라 임플란트의 경우 상방의 microthread의 디자인에 의해서 장기간의 골 안정성을 보인 반면 이를 비슷하게 구현한 오스템의 GS2와 신흥의 M 에서 많은 양의 뼈가 상실되는 문제가 적지 않게 발생했다는 것은 치과의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많다.

신제품인 TS 시스템은 형태에서 변화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표면처리에서
도 SA(SLA)와 CA 그 외에도 HA와 BA 등으로 다양한 표면 처리를 보인다.
형태로 구분을 하면 TS2,TS3 그리고 TS4 등으로 나뉘어진다.

TS2=straight body
TS3=1.5도 tapered body
TS4=6도 tapered body

INTERNAL HEX 11도 TAPER CONNECTION구조를 가진 SUBMERGED TYPE의 임플란트

CONNECTION-MINI/REGULAR

서울순치과에서는 Transfer abutment를 주로 사용한다 사실 rigid abutment와의 차이는 스크루가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가 있다(rigid abutment의 경우 크라운에 구멍이 있는 것이 무의미하다.) Angled abutment는 각도를 가진 것인데 임플란트의 방향을 바꿀 때 쓰게 된다. 그러나 현재는 SMARTFIT가 있고 CUSTOMED ABUTMENT로 제작이 가능해서 사용이 거의 되지 않고 있다..

보철물의 두께와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높이는 2(두께)+4(유지)이므로 6미리가 안되는 경우 gold cast abutment(흔히 말하기를 스크루 타입)를 쓰기도 한다.

Transfer abutment에서 쓰는 인상용 코핑은 현재 픽업 임프레션 코핑을 주로 쓰고 있는데 open tray를 만들어야하는 번거로움과 구치로로 갈수록 입이 벌어지지 않아서 고전하게 된다. 그래서 transfer impression copping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전에는 덜 정확하다는 생각을 했는데 임플란트 회사에서 많은 보완을 통해서 정확함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점진적으로 transfer impression copping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해 본다. 특히 개구량이 작은 환자의 상하악 7번의 경우 유리한다. 형태로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인상재에 걸려서 빠지도록 되어있고 다른 하나는 인상재가 잘 빠지도록 되어있다.
물론 픽업 임프레션 코핑은 스크루를 풀러서 빼고 transfer impression copping은 스크루를 풀지 않고 빼낸다.

그런데 이런 pick up impression copping과 transfer impression copping 모두 fixture level에서의 인상 채득이다.

서울순치과에서는 transfer abutment를 주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서 customed abutment을 사용한다. 드물게 gold cast abutment를 사용한다.



Rigid abutment(solid abutment)의 경우 모자 같은 것(=rigid impression copping)을 씌워서 뜨는데 서울순치과에서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헤더 바 타입의 오버덴처를 하는 경우 임플란트는 external hex type을 써야 임플란트 간의 방향 문제가 있어도 보철이 용이하다. 헤더 바를 사용하는 경우 오스템의 US나 3i의 external hex방식을 사용하면 된다(물론 요즘은 3i도 internal hex방식이 나온다) 스플라인은 앞으로는 사용하지 않으려하지만 이것은 external hex방식이라고해도 안에 홈이 있어서 방향을 맞추기 용이하지 않으므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임플란트는 미니/레귤러/울트라와이드로 나뉘어진다

TS2=straight body
TS3=1.5도 tapered body
TS4=6도 tapered body
여기에서 TS2는 서울순치과에서 사용되지 않으므로 TS3와 TS4 사양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S3 SA&CA:미니 3.0(NEW)/3.5 레귤러 4.0/4.5/5.0/5.5(NEW2015) 울트라와이드 6.0/7.0
TS4 SA&CA:레귤러4.0/4.5/5.0와 울트라와이드6.0/7.0로 나뉘어진다.



healing abutment는 미니에 대해서 4.0/4.5 레귤러에 대해서는4.0/4.5/5.0/6.0/7.0(4.0/4.5/5.0/6.0/7.0/8.0)의 다섯 가지가 있다. 그리고 높이는3,4,5,7,9의 다섯 가지가 있는데 3미리짜리는 1+2,5미리는 2+3,7미리는 3+4로 되어 있었지만 현재의 사양은 범위를 지정하고 있다.(p53)


Impression coping은 pick up과 transfer모두 미니에서 4.0/4.5(4미리),레귤러에서는 4.0/4.5/5.0/6.0/7.0미리이고 pick up에서 length는11,15에 핀+5 그리고 0,9
transfer에서는 length는11,14이다.아는 바와 같이 pick up은 custom tray(individual tray)를 만들어야하고 transfer type은 기성 tray사용
pick up과 transfer모두 fixture level의 impression 방법이고 solid abutment를 사용하는 것은 abutment level의 impression방법이다.(p71,72)

Transfer abutment는 미니의 경우 지름은 4.0/4.5(4.5/5.5),G/H는 1/2/3/4/5이고 높이는 5.5/7.0(5.5) 레귤러의 경우 지름은4.5/5.0/6.0/7.0 (4.5/5.0/6.0/7.0/8.0) G/H는 1/2/3/4/5이고 높이는 4/5.5/7.0(p65,66)


Lap analogue는 미니 레귤러 각각 하나. 이것은 우리가 심은 임플란트라고 생각하면 된다.(p69)
참고로 rigid abutment에서의 lab analogue는 잇몸 상방으로 나온 형태(p64)
임플란트와 abutment의 조임토크는 미니는 20뉴우톤,스탠더드는 30뉴우톤이다